Tumgik
coicnico-blog · 5 years
Text
물류 블록체인 전문기업 '제이컴피아', 온·습도 관제 전문기업 '대단'과 협력 체결
Tumblr media
제이컴피아(대표 최진수)와 (주)대단(대표 강건욱)이 콜드체인 통합물류체계인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COIC 물류블록체인 플랫폼은 신선식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가격보다 품질을 더 중요시하는 먹거리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식품 유통 과정을 관리하여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과 신선도를 갖춘 식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이번 협약으로 (주)대단은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에 온도/습도 관제 솔루션을 제공하기로 했다. (주)대단은 냉동 냉장 스마트 Cold-Chain 시스템 서비스 전문 기업이다. 2010년에 설립되어 많은 기술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온도제어기, 온습도센서, CO2센서, 에너지현황판 등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클라이언트로는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이마트, 풀무원 등 국내 굴지의 유통 대기업들을 확보하고 있을 정도로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다.
대단의 온습도 관제는 자체적인 온도센서와 제어기를 개발하여 온도 제어를 필요로 하는 냉동/냉장창고 및 물류센터에 클라우드 환경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많은 비용투자 없이 쉽게 온습도관제가 가능하다. 특히나 창고 내의 온도 유지와 저장물의 신선도 유지, 폐기율 감소, 저장기간의 연장 등으로 최대 60%에 이르는 전기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인공지능(AI) 제상시스템은 저온 냉동· 냉장고 운영 시 설비장치 및 증발기에 서리 발생 시 자동제상시점을 인공지능으로 해결하여 불필요한 제상을 줄여주어 창고 업무의 경쟁력을 배가시킨다. COIC은 물류 기업들이 비용에 대한 어려움 없이 물류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도록 업계에서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솔루션 기업들과 협약하여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신석식품의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보관과 운송상태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물류센터와 냉동 냉장 창고업무의 이력 데이터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업무의 효율을 높히는 입/출고 업무의 간결한 운영과 출고 시 오류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온/습도 관리를 통해서 제품의 상태보관에 대한 투명한 신뢰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서 최종 소비자의 신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이컴피아는 B2B2C 블록체인 사업모델의 일환으로 안심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물류블록체인 프로젝트 COIC을 진행중이다. 물류 블록체인의 실증적 사업모델을 이끌어나가는 COIC프로젝트는 기존 물류센터와 냉동 냉장 창고들의 사업 경쟁력을 끌어 올려 상태 보관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계획이다. 물류센터/냉동·냉장창고의 비즈니스 특성상, 시스템화 되어 있지 않아서 물품을 수작업으로 무작위 적재하고 물품 보관위치를 화이트보드에 기록하여 관리, 출고할 경우, 창고 구역 담당자의 개인 의존도가 높고 16단계에 달하는 불필요한 절차로 업무가 복잡해진다. 해결방안은 수작업 창고현장을 시스템으로 체계화 하고, 기록된 물품 위치를 시스템으로 가이드하는 것이다. 실시간으로 물품의 적치 및 이동 위치가 시스템에 기록되므로 물품의 위치 및 재고량, 창고의 용적률이 즉시 파악되어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창고를 운영할 수 있다. 16단계 업무는 7단계로 감소하여 전체 업무량의 57%가 감소되며, 작업자에 의한 수동 업무가 시스템에 의한 자동 업무로 전환되어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한 입·출고 업무가 체계화 되어 업무량에 따른 인력 재배치가 가능해진다. 시스템에서 출고 품목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므로 Picking 작업시간이 빨라져 물품의 출고 시간이 줄어들게 할 것이다. 물류블록체인 플랫폼 COIC은 기존의 물류센터 및 냉동/냉장 창고를 대상으로 제품 입고부터 출고까지의 업무 효율화와 적정 온습도 유지를 통한 상태보관 데이터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분산 저장하여 통합 운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물류센터와 창고주들은 서비스 이용댓가로 초기 시스템 구축 도입 비용 없이 블록체인 코인인 ‘COIC 코인’을 매달 일정량 구입해야 한다. 그래서 COIC코인을 구매하는 물류센터와 냉동 냉장창고 기업이 늘어나 코인을 구매하는 수요가 안정되게 증가되면 물류코인으로서 시장에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COIC 은 물류센터나 창고 기업은 물류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게 되고 코인의 가격상승도 기대할 수 있는 1석2조의 효과를 누리게 된다고 전했다. 또한 COIC 플랫폼 특성상 플랫폼 비지니스의 양면성 효과(two sided market)로 블록체인 생태계 내에 들어온 화주나 대형마트 그리고 소비자들은 COIC코인을 통해서 신선한 제품의 상태보관에 대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생태계의 만족을 배가시킬 것이다. 적은 비용의 고효율화를 추구해야 하는 기존의 물류센터와 창고들은 시스템 투자에 대한 선택지가 많지 않다. 특히나 많은 비용을 투자해서 최첨단 시스템이 적용된 센터나 창고를 구축하기는 더 쉽지 않다. 이런 기존의 물류센터와 냉동, 냉장창고는 COIC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운영을 효율화 시켜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 투자 여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2018년 정부 블록체인과제인 '축산물 이력관리 블록체인'를 NDS와 같이 수행한 제이컴피아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안정된 온습도관제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적용하고 신선한 먹거리 문화에 앞장설 예정이다.
출처 : 한국경제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1249284a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안심할 수 있는 먹거리 공급하자” 제이컴피아-대단 업무협약 체결
식품 유통 과정을 담당하는 국내 물류 산업의 현 주소는 아직까지도 많은 물류 기업들이 기술에 대한 투자 및 활용이 부진한 편이다. 비효율을 개선하고 비용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물류 전문 솔루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기술에 대한 인식부족 및 비용에 대한 부담 등이 기술 도입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코익 물류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는 ‘제이컴피아’(대표 최진수)가 지난 24일 ‘㈜대단’(대표 강건욱)과 콜드체인 통합물류체계인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Tumblr media
냉동 냉장 스마트 콜드체인 시스템 서비스 전문 기업 ‘대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온도 및 습도 관제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단은 지난 2010년 설립돼 많은 기술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온도제어기, 온습도센서, CO2센서, 에너지현황판 등의 기술을 갖추고 있다.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이마트, 풀무원 등 국내 굴지의 유통 대기업들을 클라이언트로 확보하고 있을 정도로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다. 제이컴피아는 코익 물류 프로젝트를 담당, 물류 기업들이 높은 비용에 대한 어려움 없이 물류 솔루션 도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업계 최고의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솔루션 기업들과 협약해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최진수 제이컴피아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상용화에 한발 더 다가갔다”며 “앞으로 물류 솔루션 혁신과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물류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거리를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은 식품 유통 과정을 관리,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과 신선도를 갖춘 식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8702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식약처, 블록체인을 통한 수입식품 안전보증에 나서
Tumblr media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블록체인을 통한 수입식품의 위해정보 위변조 방지에 나선다.
24일(현지시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입식품 통관단계 검사체계 내 블록체인이 도입된 ‘지능형 수입식품 통합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지능형 수입식품 통합시스템은 '위해정보 수집 및 분석 자동화', '수입자에게 자가진단 서비스 제공', '위생증명서 위변조 방지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적용'의 기능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입신고 시 첨부되는 외국 발행 위생 증명서에는 위·변조 방지를 목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게 된다.
이번 시스템은 수입식품의 해외 현지실사부터 통관 및 유통단계 정보 등을 연계하고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분야별 시스템을 통합하는 등 관리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관단계뿐만 아니라 해외 현지실사, 유통단계 등 수입식품 전 분야에 걸쳐 안전관리의 효율성 개선을 목적으로 해외 위해정보 수집·분석을 자동화하고 실시간 수입검사에 반영하는 '위해도 기반 시스템'을 구현할 것을 밝히기도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이번 시스템이 구축 및 적용되면 위해 우려 식품의 수입을 사전에 예방하고 수입신고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미리 걸러냄으로써 민원편의 및 행정효율이 향상될 것이다. 부적합한 수입식품의 회수, 폐기, 반송 등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도 절감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30일 서울 양천구 서울지방식약청에서 시스템 구축 입찰 설명회를 열것을 밝혔다.
출처 : 토큰포스트 https://tokenpost.kr/article-5588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제이컴피아, 대단과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조성을 위한 MOU 체결
Tumblr media
식품 유통 과정을 담당하는 국내 물류 산업의 현 주소는 아직까지도 많은 물류 기업들이 기술에 대한 투자 및 활용이 부진한 편이다. 비효율을 개선하고 비용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물류 전문 솔루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기술에 대한 인식부족 및 비용에 대한 부담 등이 기술 도입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코익 물류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는 '제이컴피아'(대표 최진수)가 지난 24일 '㈜대단'(대표 강건욱)과 콜드체인 통합물류체계인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은 신선식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가격보다 품질을 더 ���요시하는 먹거리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식품 유통 과정을 관리,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과 신선도를 갖춘 식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냉동 냉장 스마트 콜드체인 시스템 서비스 전문 기업 '대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온도 및 습도 관제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단은 지난 2010년 설립돼 많은 기술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온도제어기, 온습도센서, CO2센서, 에너지현황판 등의 기술을 갖추고 있다.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이마트, 풀무원 등 국내 굴지의 유통 대기업들을 클라이언트로 확보하고 있을 정도로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다. 향후 제이컴피아는 코익 물류 프로젝트를 담당, 물류 기업들이 높은 비용에 대한 어려움 없이 물류 솔루션 도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업계 최고의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솔루션 기업들과 협약해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최진수 제이컴피아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상용화에 한발 더 다가갔다"며 "앞으로 물류 솔루션 혁신과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물류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거리를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출처 :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12502109923813023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제이컴피아-대단,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조성 위한 업무협약 체결
코익 물류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는 ‘제이컴피아’(대표 최진수)가 지난 24일 ‘㈜대단’(대표 강건욱)과 콜드체인 통합물류체계인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Tumblr media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은 신선식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가격보다 품질을 더 중요시하는 먹거리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식품 유통 과정을 관리,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과 신선도를 갖춘 식품을 공급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냉동 냉장 스마트 콜드체인 시스템 서비스 전문 기업 ‘대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온도 및 습도 관제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단은 지난 2010년 설립돼 많은 기술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온도제어기, 온습도센서, CO2센서, 에너지현황판 등의 기술을 갖추고 있다.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이마트, 풀무원 등 국내 굴지의 유통 대기업들을 클라이언트로 확보하고 있을 정도로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다. 향후 제이컴피아는 코익 물류 프로젝트를 담당, 물류 기업들이 높은 비용에 대한 어려움 없이 물류 솔루션 도입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업계 최고의 검증된 기술력을 가진 솔루션 기업들과협약해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최진수 제이컴피아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으로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상용화에 한발 더 다가갔다"며 "앞으로 물류 솔루션 혁신과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물류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거리를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출처 : IT조선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5/2019012502330.html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제이컴피아, 온·습도 관제 전문기업 '대단'과 협력
물류센터, 냉동·냉장 창고에 입고부터 출고까지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관리
Tumblr media
신석식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유통 과정을 담당하는 국내 물류 산업은 아직 기술 투자 및 활용에 있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사람의 수작업에 의존하다 보니 비효율적인 작업과 식품 안전사고 발생 시 원인파악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제이컴피아(대표 최진수)와 ㈜대단(대표 강건욱)은 콜드체인 통합물류체계인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COIC은 신선식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가격보다 품질을 더 중요시하는 먹거리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식품 유통 과정을 관리해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과 신선도를 갖춘 식품을 공급하기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이번 협약으로 ㈜대단은 COIC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에 온도·습도 관제 솔루션을 제공한다. ㈜대단은 냉동 냉장 스마트 Cold-Chain 시스템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2010년 설립됐다. 온도제어기, 온습도센서, CO2센서, 에너지현황판 등의 기술 및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주요 고객으로는 롯데마트와 롯데슈퍼, 이마트, 풀무원 등 유통기업들이 있다.
㈜대단의 온습도 관제는 자체적인 온도센서와 제어기를 개발해 온도 제어해야 하는 냉동·냉장창고 및 물류센터에 클라우드 환경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많은 비용투자 없이 쉽게 온습도 관제가 가능하다. 특히 창고 내의 온도 유지와 저장물의 신선도 유지, 폐기율 감소, 저장기간의 연장 등으로 최대 60%에 이르는 전기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물류 블록체인 플랫폼 COIC은 기존의 물류센터 및 냉동·냉장 창고를 대상으로 제품 입고부터 출고까지의 업무 효율화와 적정 온습도 유지를 통한 상태보관 데이터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분산 저장해 통합 운영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류센터와 창고주들은 초기 시스템 구축 도입 비용이 없으며 서비스 이용비는 블록체인 코인인 ‘COIC 코인’을 매달 일정량 구입해야 한다. COIC코인을 구매하는 물류센터와 냉동 냉장창고 기업이 늘어나면 코인을 구매하는 수요가 안정되고 ���류 코인으로써 시장에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이다.
제이컴피아는 COIC는 물류센터나 창고 기업은 물류 본연의 업무에 충실하게 되고 코인의 가격상승도 기대할 수 있는 1석 2조의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화주, 대형마트, 소비자는 COIC코인을 통해 신선제품의 보관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제이컴피아 블록체인사업본부장 양홍현 전무는 “이번 ㈜대단과의 협력을 통해 안정된 온·습도관제를 블록체인 시스템에 적용해 신선한 먹거리 문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이컴피아는 2018년 정부 인터넷진흥원 블록체인과제인 ‘축산물 이력관리 블록체인’를 NDS와 함께 수행했다.
출처 : 물류신문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776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2019년 유통시장 전망의 화두는 역설적이게도 물류서비스가 주인공 역할을 맡게 될 전망이다. 상품 변별력은 떨어지고, 차별화할 수 있는 부분이 물류서비스 경쟁력으로 남았기 때문. 결국 고객 접점에서 어떤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시장을 확대할 수도, 선점할 수도 있도록 시장의 흐름은 급변하고 있다.
또 매년 연 초 반복되는 ‘어느 업종이 뜨고, 지는 식’의 천편일률적 시장전망도 너무 구태의연해 졌다. 한 가지 강조할 부문은 지금 세우고 있는 다양한 노력과 이를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실행력이 2019년 유통시장을 넘어서 거시적 시장에서 유일한 생존전략으로 남게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유통과 물류서비스의 경계가 사라진 원년이 될 2019년의 유통시장은 더욱 세분화되고,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화에 따라 고객의 DNA를 사전에 읽고 새로운 소비를 이끌어 내는 시장이 펼쳐질 전망이다. 유통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장기 전략과 시장 성장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공략해야 하는지 장단기 흐름과 뜨고 질 유통시장 전망을 해 봤다.
Tumblr media
백화점·대형마트 성숙기, 온라인 성장률 역시 둔화 지난해 유통시장의 실적 성장에 3가지 요인은 신선식품부문 유통채널 성장과 소득양극화에 따른 상위계층의 소비증가, 그리고 면세점 시장의 기대 이상 성장률(동기 대비 34.8%)이었다.
반면 한화증권의 2019년 소매유통 시장의 성장 예상치는 479조원으로 전년 대비 고작 +3.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목할 점은 주요 오프라인 업체들의 성장률은 더욱 낮아질 전망이며, 온라인 역시 전체 소매시장 비중이 커져 소비 증가율은 지난해 대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비둔화의 요인으로는 고용시장 악화, 물가상승 부담 등 사회전반에 불고 있는 부진한 미시적 환경으로 소비여력의 하락이다. 여기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라 올해부터 본격화된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가파라질 은퇴 속도로 예상되는 가계소득 감소와 신규 고용인력 정체등도 전반적인 소비 유통시장 악재로 대두될 전망이다.
그럼 각 업종별로 2019년 시장 전망치는 어떨까? 대다수 유통시장 전망보고서를 정리해 보면 우선 프랜차이즈 대표업종인 편의점 업계의 경우 신규출점 제한정책에 따라 매장수 정체가 우려되는 반면 외식업종의 성장률은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 업계는 이미 2017년 사업 성숙기를 지난 만큼 질적 성장에 대한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이며, 접근성이 뛰어난 만큼 상품의 차별화와 복합생활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전환이 빨라지면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오프라인 유통시장의 대표 격인 대형마트의 경우 식품부문의 온라인 경쟁압력이 심화되면서, 지속적인 방문객수 감소에 따른 시장 위축이 불가피 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구매 패턴 변화에 따라 비식품은 온라인에서, 식품 부문은 인근 매장에서 필요할 때 마다 소량 구입하는 트렌드에 따른 변화와 함께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경우 온라인 주문에 따른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백화점의 경우 3년간 신규점포 제로, 패션부문 1.5조원의 매출 하락 등에도 불구, 지난해 전체 매출부분은 회복세를 보였다.
따라서 2019년은 엔터테인먼트 매장 확대와 더불어 하이브리드 점포들이 적극 출점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쇼핑시장은 물류시장이 가장 주목하는 시장으로 2019년의 경우 ‘식음료+신선식품’을 중심으로 가장 큰 성장세가 기대된다. 2018년 13조 원 가량의 시장을 견인 식음료와 신선식품 부문은 직장 맘과 1인 가구 증가와 더불어 기술진보와 물류서비스 확대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시장이었다.
특히 온라인 시장에서 식품을 매개로 한 생활용품·가전·의류 등 표준화된 공산품 카테고리 시장 확대도 2019년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분야다. 이와 함께 모바일 동영상 쇼핑몰의 등장은 산업계가 주목해야 할 특화시장으로 보인다. 온라인 구매 패턴이 기존 PC쇼핑몰에서 모바일 쇼핑채널 중에서도 동영상을 이용한 시장 확대를 가속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 모바일이 아니라 유튜브 및 기타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 시장 영역확장이 어디까지일지 지켜보는 것도 2019년 유통시장을 가늠하는 요소다.
현 증가율, 20년까지 횡보, 신선식품 증가세는 트렌드 변화 지난해 연말 쏟아낸 항목별, 업태별 유통시장의 전망은 어느 보고서나 크게 다르지 않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2019년 유통시장 전망을 이야기 하는 전문가들 대부분이 유통업 보단 물류서비스 관련 강조 설명이 더 많았다는 점이다. 그 만큼 유통시장에서 물류서비스는 이제 뗄래야 떼 낼 수 없는 경쟁력 요소인 것처럼 보인다.
물론 아직 국내 유통시장이 아닌 해외시장에서의 물류경쟁력 이야기지만, 이 같은 흐름은 조만간 국내 시장에도 예외가 아닐 전망이다. 이처럼 유통시장의 거시적 전망은 이미 시작된 국내외 사업군 별 구조조정과 더불어 사업 다각화 성과에 따라 오는 2020년 초반까지 횡보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유통시장 전망에 미치는 사회 전반의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 이미 언급한 대로 고용 및 경기부진, 이자율 상승, 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 등이 여전히 2019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요소들이다.
한편 지난달 11일 보스톤컨설팅 유통부분 김연희 대표는 당연할 것처럼 예상한 유통시장의 틀을 깨는 지적으로 주목 받았다. 김 대표는 “당장 신선식품 소비는 늘겠지만,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지금 불고 있는 식자재 신선식품 물동량 증가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집에서의 요리 비중이 점차 감소하고, 이에 따른 단순 식자재 식품군 유통량은 감소하는 대신 배달음식과 간편식 HMR등의 반조리 형태의 상품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김 대표가 강조한 2019년 유통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는 지금 공급되는 평이한 식자재가 아니라 Fine 식자재, 즉 보다 차별화되고 고급화된 수준급 반조리 형태의 식자재 시장이다.
예상되는 이들 시장의 규모는 약 100조 원 가량으로, 지난해 신선 식자재가 시장을 선도했다면 2019년 시장은 보다 세밀화 되고, 고급형 맞춤식 식자재 시장이 열리는 셈이다. 따라서 물류서비스 시장에서 이미 전망한 대로 보다 조밀하게 세분화되는 상품들의 확대가 유통시장을 주도할 것이란 전망과 일치한다.
이와 함께 일반 생필품과 내구재 유통시장에 대한 전망은 어떨까? 여기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ICT 등 4차 산업혁명과 이를 통한 Digital Transformation이 자리한다. 이미 백화점과 여타 유통업들은 무인점포와 무인계산대 등 아날로그의 전통적 시장을 디지털화하며 중국과 미국의 경우 자동결제시스템을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미래 유통시장은 고객을 기다리며 선택받는 전략에서 벗어나 고객의 니즈를 사전에 파악해 새로운 소비를 만들어내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시장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물류신문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631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산업부, 블록체인 독자 행보...유통·물류 적용 검토
내년 1월까지 연구 진행 후 시범사업 발굴ㆍ법제도 개선 추진
Tumblr media
산업통상자원부가 독자적으로 유통ㆍ물류 부문 블록체인 적용 활성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산업부는 내년 초까지 연구를 진행한 후 시범사업 추진과 법제도 개선 등을 추진할 전망이다. 16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산업부는 이달부터 내년 1월까지 ‘유통분야 블록체인 활용사례 발굴 및 확산방안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연구는 유통·물류 분야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성공사례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반 유통·물류 시범사업 발굴 및 법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된다. 산업부는 유통 업태, 유형, 품목별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사례를 조사한다. 또 유통, 물류 분야 블록체인 기술의 성공요소 분석을 위해 비즈니스 모델, 수익구조, 주체별 참여모형 등을 발굴한다. 또 산업부는 국내 유통기업, 블록체인 기업, 연구소 및 학계 등을 대상으로 유통 분야 블록체인 시범사업 신규 아이디어를 조사한다. 유통 전문가, 블록체인 기술자, 암호화폐공개(ICO) 업체 등 전문가 자문그룹을 구성해 시범사업 모델에 대한 타당성 및 실현 가능성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렇게 산업부는 시범사업 과제를 만들고 과제별 우선 순위를 정할 계획이다. 또 시범사업과 유통 분야 블록체인 적용 시 필요한 법제도 개선 과제를 알아볼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산업부가 독자적으로 진행을 하는 것”이라며 “블록체인 기술이 펑션(기능) 측면에서 가장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분야가 유통이다. 이에 유통에 어떻게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 초 연구결과가 좋다면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연구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모르는 만큼 현재로써는 정책 추진에 대해 확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월마트, 까르푸 등 유통 블록체인 적용 활발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신뢰 기반 서비스라는 점에서 특히 유통, 물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면 물품이 배달되는 경로를 추적해 분실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 돼지고기, 야채 등 유통에 접목할 경우 생산지부터 소비자의 밥상까지 경로를 알 수 있어 원산지를 속이거나 변질로 인한 문제를 추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월마트, 까르푸 등이 이미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9월 말 외신들은 월마트가 공문을 통해 녹색 채소를 공급하는 협력사들에게 내년 1월까지 IBM의 추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또 최근 까르푸는 IBM이 생산 현장부터 유통 업체 선반에 이르는 식품 공급망을 추적할 수 있게 해주는 블록체인 기반 상용 플랫폼인 푸드 트러스트 렛저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까르푸는 초기에는 자체 브랜드 제품들을 대상으로 블록체인을 적용하고 2022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자사가 유통하는 모든 브랜드 제품에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물류 부문에서는 삼성SDS가 관세청이 주관하는 블록체인 기반 '수출통관 물류서비스'를 자사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Nexledger)‘로 구축하고 있다. 관세청은 수출입 유관 공공기관, 선사, 보험사 등 48개 기관 및 기업과 블록체인 기반 수출통관 물류서비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부는 이처럼 블록체인을 유통, 물류 분야에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법제도적이 규제도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점은 산업부가 자체적으로 블록체인 적용에 나섰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개인통관, 외교부 공문서 교환, 신뢰기반 전자선거 서비스 개발 등 올해 6개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에는 이를 12개로 늘린다. 과기정통부는 블록체인규제개선반도 운영해 올해 연말까지 규제 개선도 추진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이와 별개로 자체적으로 부처에서 필요하고 또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분야에 블록체인 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국방부 등 다른 부처들도 각자 특성에 맞는 블록체인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출처 : 더비체인 http://www.thebch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정부 '블록체인' 시각 바꾸나…연초부터 지원 '봇물'
Tumblr media
주요 선진국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을 '미래 먹거리'로 인식하며 우호적인 입장을 갖고 있는 가운데, 세계적인 흐름에 맞춰 우리 정부의 블록체인을 바라보는 시각도 우호적으로 바뀌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한해동안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블록체인 기술을 금융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접목해 규제완화 및 선제투자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였다. 우리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력으로 '블록체인'을 손꼽았으나, 실제로는 암호화폐 투기를 우려해 산업을 규제해왔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며 2018년 한국의 블록체인 기술 수준은 중국보다 뒤처졌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 따르면 한국 블록체인 기술 경쟁력은 최고 기술 수준 보유국인 미국과 비교해 76.4%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2.4년의 개발격차가 존재하는 셈이다. 중국은 78.9%로 우리나라를 앞질렀다. "2019년 블록체인 시장은 기관 참여와 옥석가리기의 원년이 될 것"이라는 업계 전문가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연초부터 블록체인과 관련한 정부 지원안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나오고 있다. ◇과기부, 공공 블록체인 예산 3.7배↑ 정부는 올해 85억원을 투입해 12개의 공공블록체인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지난해 40억원 예산에서 2배 증액된 것이다. 과기부의 블록체인 사업은 지난해와 비교해 약 3.7배 커진 319억원으로 편성됐다. 과기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연구개발(R&D)을 통해 기술혁신 핵심인력을 양성하고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과기부는 지난해 12월 "민간에서 쉽게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오는 2023년까지 '이더리움'과 '이오스' 같은 블록체인 플랫폼을 직접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5700억원 규모의 과기부 블록체인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탈락한 것과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최대한 이른시일 내 재도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사업은 2020년~2026년까지 국가 주도의 블록체인 중장기 기술개발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재부, 블록체인 R&D 최대 40% 세액공제 올해부터 블록체인, 웨어러블 로봇 등 16개 신성장 기술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을 진행하는 중소기업은 최대 40%까지, 중견·대기업은 최대 30%까지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다. 기획재정부가 지난 7일 발표한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정부는 세액을 공제해주는 신성장 기술의 범위를 157개에서 173개로 확대했다. 추가된 신성장 기술은 '블록체인', '미세먼지 저감기술' 등 16개다. 통상 대기업의 R&D 세액공제율은 0~2% 수준이고, 중견기업은 8~15%, 중소기업은 25% 수준이다. 그러나 신성장 기술분야 R&D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은 중견·대기업이 20~30%이고, 중소기업이 30~40% 수준이다. 이는 블록체인에 대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신기술을 지원하고 신사업을 창출해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나서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시행령 개정안은 오는 29일까지 입법예고와 국무회의를 거쳐 2월 중 시행될 예정이다. 출처 : 뉴스1코리아 http://news1.kr/articles/?3520595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블록체인 시범사업, 분야별 컨소시엄 구축이 열쇠"
2018 사업 사례 발표…농심NDS, 성공 요소 제시 "블록체인 구축, RFID·비콘 등 IoT 적용 경험" 강조 "해당 분야 강점 내세울 컨소시움 구축 해야"
Tumblr media
“블록체인 공공 시범사업에서는 블록체인 전문 기업, 시범 사업 분야의 전문 기업, 개발 전문 기업 등 세 개 이상이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차재열 농심NDS(농심데이터시스템) 소장은 7일 SKT 타워에서 열린 ‘공공 블록체인 프로젝트 사례 설명회’에서 블록체인 공공 시범사업 지원을 위한 컨소시엄 구축 노하우를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핵심 성공 요소로 △블록체인 구축 경험 △RFID·비콘 등 IoT 적용 경험 △모바일 시스템 구축 경험 △해당 사업(축산업 식품)에 대한 이해 등 4가지를 제시했다. NDS는 지난해 6월 정부가 발표한 블록체인 6대 시범사업 중 하나인 농림부의 축산물 이력관리 시범사업 주관 기업이다. 차 소장은 “(시범사업의 경우)블록체인 구축, 그 위에 데이터를 올리는 과정, 그 데이터를 가시화할 수 있는 업무 등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며 “시범사업의 경우 수행기간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각 영역에서 최대의 아웃풋을 낼 수 있는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NDS의 경우 이에스산전과 제이컴피아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축했다. NDS는 하이퍼레저(Hyperledger)를 이용한 블록체인 구축을 진행했으며, 이에스산전은 RFID(자동화 시스템), 제이컴피아는 모바일 개발을 맡았다. 그는 “시행 사업별로 IoT가 중요하다면 해당 사업에 정통한 회사와 함께 4개의 업체가 참여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귀띔했다. 별도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사업의 경우 해당 정보를 데이터화 시키는 부분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 지난해 수행된 6개 시범사업의 경우 모든 과제가 두 개 이상의 회사로 구성된 컨소시움 형태로 진행됐다. 관세청 시범사업은 매트릭스투비와 아이콘루프, 국토부 사업은 웨이버스·블로코·코오롱베니트·올포랜드, 선관위 사업은 핸디소프트·해바라기소프트·엑스블록시스템즈가 손을 맞잡았다. 해수부의 경우 케이엘넷과 글로스퍼가 외교부의 시범사업은 에스지에이와 에스지에이솔루션즈가 함께 했다. 
Tumblr media
컨소시움 구축 이외에도 블록체인이 필요한 이유를 잘 풀어내는 것도 중요하다. 차 소장은 “기존 인프라와 블록체인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면서 “기존 데이터와의 차별성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NDS의 경우 업무 편의성 증대 등을 위해 기존 23개의 스마트컨트랙트에서 45개로 늘려 기존 시스템과의 차별성을 더했다. 포장 처리 단계에서 거래 내역서와 바코드를 추가로 등록하는 등의 방식이다. 차 소장은 “발주처인 KISA는 IT에 대한 업무에 정통해 커뮤니케이션에 무리가 없었다”면서도 “수요처에서는 IT 측면보다는 행정 활용에 방점을 두고 있어 두 기관을 만족시키는 데 어려움이 따랐다”고 설명했다. 발주처와 수요처 두 기관의 요구 사항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또 “현행 시스템에 바로 접목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시범사업으로 설정한다”면서 “현행 시스템에 대한 변경이 일부 필요한 데 시범사업을 위해 현 시스템을 바꿀 순 없다는 점이 힘들었다”고 했다. 이번 사업설명회는 사단법인 오픈블록체인협회가 주최하고 농심NDS, 아이콘루프, 블로코, 글로스퍼 등이 주관사로 참여했다. 설명회에는 고려해운, 한진 정보통신, 안랩 등 10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공공시범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내비쳤다.
출처 : 서울경제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VDY1WGRB0/GZ02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2019 블록체인 시범사업]④탄소배출권·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한다
연간 70만부 발행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자동화 수기로 작업되어 오류 발생하는 REC계약, 블록체인 통해 자동화하고 시장 투명성 높여 장외거래가 90% 차지하는 탄소배출권 시장 블록체인 기반 인증서와 전자계약서 발행 통해 이중거래 방지
Tumblr media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나날이 더해지고 있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완비되지 못했다. 국내 탄소배출권 및 인증서 시장은 서류작업 등으로 인해 비효율적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인한 경제적 비용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 ◇ 연간 70만부 발행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블록체인으로 자동화 =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신재생 2030 이행계획’을 세웠다. 설비와 공급인증서 의무이행 비율을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로 전기를 만들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서류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계약 빈도는 지난 2012년 하반기 122건에서 올해 하반기 1,436건까지 증가했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의무비율 또한 2018년 5%에서 2030년 28%로 확대하려 하고 있다. ​ 그러나 증가하는 업무에도 불가하고 발전사업자와 에너지관리공단, 전력거래소 등 관련 기관 간의 시스템이 연계되어있지 않고 정보가 공유되지 못해 업무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 현재 REC를 위한 문서 발생량은 연간 70만부 이상이며, 수기계약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정보 불일치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REC 회원사 중 소규모 사업자 비율이 88%로, 시스템 미숙으로 인한 오류 발생률이 40%에 달한다. ​ 서울남부발전은 블록체인 기반 REC 거래 시스템을 통해 시장 투명성 제고와 업무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블록체인을 통해 ‘올인원 프로세스’를 구축해 REC 신청·발급, 낙찰자, 수수료 관련 정보 등을 노드에 제공함으로써 REC 계약부터 대금지급, 납부까지의 과정을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장외시장에서 거래되는 탄소배출권 이력관리 투명하게 해 ‘이중거래’ 제거 = 지난 2015년부터 시행된 탄소배출권 거래제 전면 시행으로 장내·외 거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난 2월을 기준으로 전체 28개 국가에서 총 21개 배출권거래제 도입·시행 중이다. 15개의 국가 및 미국 주 정부에서도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탄소배출권은 한국거래소를 이용한 장내거래가 아닌 장외거래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이중거래에 등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거래에 소요되는 기간 또한 계약서 작성부터 2~3개월이 걸리는 등 시간과 비용에 있어서의 비효율도 존재한다. ​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탄소배출권 이력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해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고 거래 활성화와 효율성을 달성할 계획이다. ​ 블록체인 기술은 전자 계약서와 인증서발행에 사용된다. 스마트 콘트랙트는 계약서 인증과 검토, 승인 등의 정형화된 업무를 자동화하는 데에 활용된다. 또 모바일을 통해 외부사업과 인증실적 정보 중 중요 정보를 제공하고, 해외 외부감축사업과의 연계 기능을 제공해 향후 사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전망이다. ​ 출처 :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JVM3FHI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2019 블록체인 시범사업]③군대·우체국·국가기록원도 효율·투명성 제고 나선다
병무청, 블록체인 기반 민원처리 보안인증 모델 개발 계획 방위사업청, 종이서류로 진행되는 제안 접수 및 평가를 전자화할 것 우정사업본부, 블록체인 기술 도입해 집배원 업무의 효율성 제고 한국기록원, 기록물 생산부터 관리까지 블록체인 활용해 무결성 입증
Tumblr media
북한과 대립하는 특수성으로 인해 우리나라 군대 조직은 다른 국가에 비해 비대하다. 또한 폐쇄적인 문화로 인해 군인 조직은 비효율적이고 정보가 불투명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노력은 이어지고 있으나 불신은 여전하다. 병무청과 방위사업청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효율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나섰다. ◇온라인 민원 처리 안전성 제고, 대체복무요원의 부실복무 방지 = 병무청은 무수히 많은 민원을 받는다. 어느 기관보다 공인인증제 폐지에 대비할 필요성이 크다. 또한 병무행정을 처리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종이서류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대체복무요원에 대한 관리도 난제 중 하나다. 대체복무요원을 관리하기 위한 감독관이 존재하나 역부족이다. 사회복무요원은 5만6,348명에 이르지만, 감독관 수는 97명에 그친다. 병무청은 블록체인 기반 민원처리 보안인증 모델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ID를 발급받은 민원인은 간편히 민원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보훈처 등에서 민원인에게 요구한 병무청의 각종 종이서류는 블록체인을 통해 발급된다. 사회복무요원들의 근무태도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격 증명으로 관리된다. 이들은 출퇴근, 상담 등을 모바일 앱의 지문인식을 통해 블록체인에 기록해야 한다. 방위사업청도 불신을 불식하기 위해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방위사업청은 연간 수백 여건의 제안서를 종이문서로 접수하고 있다. 방위력개선사업의 경우 업체당 A4용지 15박스 분량의 제안서를 제출한다. 이 때문에 접수 처리에 많은 비용이 투입되고 있으며, 더불어 평가 과정에 대한 신뢰도 낮은 편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방위사업청은 종이서류 작업을 전자화하고 제안서의 위·변조를 방지해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비용 절감과 투명성 제고를 동시에 노리는 셈이다. 이 시범사업에는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조달업체 등 유관기업이 모두 참여할 예정이다. ◇ 집배원의 헛걸음 줄이고, 국가기록물 보기 쉽게 하고 = 우정사업본부와 국가기록원도 2019년 블록체인 시범사업에 참여한다. 각 기관은 그동안 약한 고리라고 판단했지만 고치지 못한 부분을 손보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에 눈을 돌렸다. 우정사업본부는 집배원이 등기우편물을 배달할 때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시범사업에 나섰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늘면서 집배원이 등기우편물을 들고 방문해도 전달할 수 없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사, 장기간 출장, 우편물 수령주소 변경으로 인한 우편물의 오배송과 반송 사례도 적지 않다. 우정사업본부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우편사서함을 구축할 계획이다. 고객의 선택에 따라 전자우편물 수신을 원하는 경우 전자우편사서함으로, 종이우편물 수신을 원하는 경우 우편제작센터의 우편물 인쇄플랫폼에서 우편물을 제작해 발송하는 시스템이다. 이 과정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전자우편사서함 간 문서의 내용 위·변조를 막고, 본인을 확인하는 데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정사업본부는 등기우편 재배달율을 떨어뜨려 연간 672억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집배원의 업무 강도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앙부처에서 생산된 표준전자문서를 이관받아 관리하고 대국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기록원도 여러 문제점을 마주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기록의 생산과 이관 과정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고, 공공기록물 정보접근체계의 시·공간적 제약을 해소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전자문서의 생산부터 활용까지 전 단계의 무결성 검증체계가 없다는 점도 이슈 중 하나다. 국가기록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경상남도청, 경남기록원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4개의 기관은 각각 블록체인 플랫폼 서버를 구축하고 새롭게 개발될 모듈을 탑재해 기록물에 대한 무결성 관리와 이관업무를 효율화하려는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시범사업이 계획한 시스템이 완성되면 생산 시점부터 문서정보는 여러 기관에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현황파악이 쉬워진다. 더 나아가 기록이 이관될 때 발생하는 문제도 추적이 가능하다. 기록 관리의 문제가 해결되면 국가 차원에서 기록정보는 더 정교하게 공유될 수 있으며, 기록정보 서비스 모델도 만들어질 수 있다. 국민들은 기록물을 더 신뢰할 수 있게 되며, 접근권한에 따라 손쉽게 기록물을 검색하고 열람할 수 있다. 영국 국립문서관(TNA)와 캐나다 국가기록청(LAC)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기록물 보관 시스템 구축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JWG6PLP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2019 블록체인 시범사업]②서울의료원·식품의약품안전처, 블록체인 기술로 국민 안전 지킨다
서울의료원,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보관, 공유로 업무 처리 효율성↑ 해썹(HACCP) 인증·발행에 블록체인 적용…식품 유통과정 투명성 기대
Tumblr media
정부가 내년 블록체인 규모를 2배 확대한 공공선도 시범사업에 서울의료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의료와 식품안전을 위한 사업을 제시하고 나섰다.  
​◇ 의료 디앱 구축해 의료정보 관리 효율성 높이자 = 서울 의료원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맞춤형 의료 서비스 구축과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향 해썹(HACCP) 서비스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이 선정됐다.
서울의료원에서는 병원 중심으로 관리되는 개인의 의료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 Smart Hospital(의료·금융 융합) 서비스 개발 시범사업’을 고안했다.  
블록체인을 이용해 환자, 병원, 약사 등 의료주체 간의 정보의 공유가 이뤄져 업무가 병렬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시간과 비용이 단축될 수 있다. 개인정보를 블록체인 위에 저장함으로써 해킹으로부터 개인의 의료정보가 안전하게 보관될 수도 있다.  
병원과 약국시스템, 제증명발급, 보험사를 연계한 블록체인 기반 진로정보교류 서비스 개발도 추진된다.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처방전을 제공하면, 환자는 이를 이용해 약값 결제 및 조제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또 각종 제증명서의 발급과 보험에 필요한 서류들도 전송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환자용 모바일 앱 구축 방안도 제시됐다. 환자는 모바일 앱을 통해 병원 방문 시 진료 예약과 검사조회, 일정조회 등이 가능하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금융 서비스를 더해 진료비를 결제하고 실손보험을 청구하는 서비스가 더해진다.=
이와 더불어 의료 진료 과정을 블록체인에 올려 기록의 위변조를 판단할 수 있는 서울의료원의 스마트 병원(Smar Hospital) 플랫폼도 구축될 예정이다.
​◇ 사물인터넷에 블록체인 더해 먹거리 인증·유통 검증 = 정부의 강화된 안전관리에도 불구하고 살충제계란, 케이크식중독 등 연이은 식품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식약처는 ‘국민향(向) 해썹(HACCP) 서비스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을 통해 사물인터넷(IoT)기반의 기반의 안전 먹거리 공동활용시스템을 블록체인을 연계 구축, 안전한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현하고자 한다.  
‘국민향 해썹 서비스는’ 현재 수기로 관리되고 있는 제조업체들의 HACCP 운영 관리 등을 자동화하고, 인증과 발행·유통 과정에 블록체인을 적용해 조작과 변조를 차단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으로 대국민용 디앱을 구축하고 HACCP인증업체와 제품을 열람, 모니터링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식품의 유통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제조공정과 환경에 대한 관리·감독이 강화되고, 식품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원인 시점을 적시할 수 있어 분쟁 소지가 차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출처 :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JWFSCGJ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콜드체인, 농가·소비자 모두 이득…활성화 위한 법안 마련 서둘러야”
Tumblr media
콜드체인 현대화 정책 세미나
농산물 저온유통 활성화되면 물류비 감소로 농가소득 증대 부패·변질 줄어 소비자 후생 ↑
법령별로 다른 관리기준 통합 농안법에 관련 조항 추가 제안도
생산자와 소비자의 편익증대를 위해 생산부터 최종 소비단계를 연계할 수 있는 농산물 콜드체인 구축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방안도 마련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황주홍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민주평화당, 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과 한국농식품물류학회(회장 김문규·농협물류 대표)는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농산물 물류 및 콜드체인 현대화 특별 정책세미나’를 열고 농산물 물류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집중점검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농산물이 생산돼 최종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모든 과정에 콜드체인화가 이뤄져 있지 않아 농산물 감모율과 물류비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며 “콜드체인을 체계화하기 위한 가칭 ‘콜드체인산업 진흥법’ 제정을 검토할 때가 됐다”고 입을 모았다. 박형우 한국농식품물류학회 부회장은 “농산물은 부패나 변질이 쉬워 유통과정에서 감모율과 물류비 비중이 높다”며 “2016년 기준 과일·채소 구입액(30조4000억원)에서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22.4%(6조8000억원)에 달할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산물 유통의 모든 과정을 콜드체인화해 포장가공비나 운송·하역비, 보관비, 감모청소비 등 물류비를 줄이면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고 소비자 후생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상표 한국식품콜드체인협회 전무는 “냉장보관 온도를 식품공전은 0~10℃,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에서는 5℃ 이하,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식재료 1~4℃, 즉석섭취식품 6℃ 등 제각각으로 지정·운용하고 있다”며 “품목별로 세분화한 관리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 전무는 특히 “콜드체인시스템 구축과 관련한 법령이 물류정책기본법·농수산물품질관리법·식품안전기본법·식품위생법·축산물위생관리법·식품산업진흥법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돼 콜드체��� 정책을 통합·조정하는 추진체계가 매우 미흡하다”며 “부처별 통합과 관리기준 설정을 위한 관련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홍상태 한경대학교 교수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에 물류 및 콜드체인 관련 조항을 추가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농안법에 콜드체인 시설 지원 등에 대한 언급이 없어 농산물 콜드체인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이런 내용을 법에 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열 농협물류 팀장도 “현재 농안법에는 도매시장의 설치와 운영, 기금운영에 관한 사항만 다루고 있고 식품위생법도 일반 농산물의 유통기준은 다루지 않아 제도적 관리기준이 없다”며 “저온유통체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출처 : 농민신문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CMS/304346/view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기업·공공 블록체인으로 혁신 날개 단다
Tumblr media
블록체인이 금융, 제조, 유통, 공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공인된 제3자 없이도 거래 기록의 무결성 및 신뢰 확보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활용해, 업무처리 절차를 간소화하고 참여자 간 협업을 증대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블록체인 솔루션 수요 시장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올해 블록체인 관련 지출이 15억 달러로 지난해 보다 두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향후 5년 간 연평균 73.2 % 성장해 2022년엔 117억 달러에 이르는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 블록체인 기반 인증서 필두로 유통.물류 추적에도 활용
​인증서는 블록체인으로 가장 즉각적인 효과를 보고 있는 분야다.
카카오 페이 인증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대표적 서비스다. 기존 공인인증서가 복잡한 추가 설치를 요청하는 것과 달리, 카카오페이 인증은 카카오톡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없이도 간편하게 인증이 가능하도록 만든 게 장점이다.
카카오페이는 인증서를 암호화해(해시 값을 떠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올려 놓고 인증서 유효성을 입증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 주요 생명·손해보험사를 포함해 약 40개 제휴사가 카카오페이 인증을 이용 중이다. 최근엔 국민연금공단도 카카오페이를 도입해 공인인증서 없이 간편하게 로그인하고 예상연금액을 조회하는 등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이외에도, 삼성SDS, 아이콘루프, 블로코, 코인플러그 등이 블록체인 기술을 가지고 간편 인증, 로그인 서비스 구축 사업을 펼치고 있다.
​향후 공인인증제도 폐지를 골자로 한 전자서명법 전부개정안이 통과되면, 단순 로그인을 넘어 전자서명이 필요한 각종 신고·신청 등의 업무에도 블록체인 기반 간편인증이 도입되는 사례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유통 분야에도 블록체인을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다. 제품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면 제품유통 상태나 정품 여부 등을 소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롯데정보통신은 신선식품 생산부터 소비에 이르는 유통 과정상에서 관리가 필요한 신선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 ‘블록체인 기반 콜드체인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글로벌에선 IBM이 월마트와 함께 망고, 돼지고기 유통에 블록체인을 적용해 상용화 단계까지 온 사례가 있다.​
■ 정부도 통관업무, 선거관리 등에 블록체인 적용
​정부는 각 부처별로 블록체인을 활용해 혁신할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42억원의 예산을 들여 ▲개인통관 업무에 블록체인 적용(관세청) ▲축산물 이력관리에 블록체인 적용(농림축산식품부) ▲블록체인 기반 간편 부동산 거래 시스템 구현(국토부)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시스템 구현(선거관리위원회) ▲국가 간 전자문서 유통 서비스 구현(외교부) ▲컨테이너 이동 시 발급되는 전자원장의 블록체인 기반 공유(해수부) 등의 총 6개의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국토부가 추진하는 간편 부동산 거래 시스템이 완성되면, 시범 지역인 제주도에선 부동산 담보 대출 신청자가 토지대장을 별도로 발급 받아야 하는 절차가 사라지고 은행 방문만으로 처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는 토지대장을 국토부, 지자체, 금결원 등이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공유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Tumblr media
정부는 내년에 블록체인 시범사업의 예산을 100억원 이상으로 늘리고, 기존 6개 사업의 운영을 지원하면서 새롭게 12개의 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해외 각국의 정부도 행정 편의를 높이고 대민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데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활용하고 있다. 암호화폐에 대해선 수위 높은 규제책을 내놓고 있는 미국이 블록체인 활용에 있어선 가장 적극적이다.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는 지난 11월 중간선거 때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투표 시스템을 개발하고 해외 파병 군인들이 모바일로 투표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지금까지 이들은 투표에 참여하기 위해 부재자 투표용지를 우편으로 보내야 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는 지난달부터 비트코인으로 세금을 받고 있다. 세금 결제는 비트코인 결제 처리 서비스 비트페이를 통해 이뤄진다. 사업자들이 각종 세금을 비트코인으로 납부하면, 오하이오 주 정부는 비트페이를 통해 달러 전환해 수금하는 형태다. 향후 이 서비스는 개인에게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기업과 정부는 암호화폐 투기 논란에서 자유로운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적용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실 사용사례를 발굴할 수 있다"며 "내년에는 보다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차원에서 블록체인이라는 용어보다 분산원장기술(DLT)을 적용했다고 이야기하는 사업이 다수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출처 : 지디넷코리아 http://www.zdnet.co.kr/view/?no=20181219175131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서울시, 1310억원 규모 혁신펀드 조성···블록체인 지원
Tumblr media
서울시가 2019년 총 1310억원 규모를 목표로 한 '혁신펀드'를 조성, 블록체인, 핀테크, 문화콘텐츠, 바이오 등 7개 분야에 집중 투자를 진행할 예정임을 밝혔다.​
27일(현지시간) 다수의 언론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는 스타트업과 벤처기업 및 중소기업에 집중 투자해 혁신산업 분야 내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이끈다는 목표로 혁신펀드를 조성함을 밝혔다.
Tumblr media
투자가 진행되는 7개 분야는 '4차 산업혁명'(250억원), '스마트시티'(250억원), '창업지원'(250억원), '재도전 지원'(150억원), '바이오'(200억원), '문화콘텐츠'(150억원), '소셜벤처'(60억원) 영역으로, 소셜벤처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의 펀드는 '중소기업육성기금'에서 출자하며 소셜벤처는 '사회투자기금'으로 운용된다.​
서울시는 2019년도 상반기 혁신펀드를 시가 137억5000만원을 중소기업육성기금에서 출자하고 나머지는 정부·민간 모태펀드 자금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것을 밝혔다.​
주목할 점은 서울시가 스마트시티 펀드 상반기 출자액의 절반인 10억원 가량을 별도로 블록체인·핀테크 펀드 조성 계획과 창업지원 펀드 중 일부를 블록체인 및 핀테크 스타트업 지원에 활용할 것 밝혔다는 점이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은 "서울시가 전략적으로 조성하는 펀드는 신정장기업과 혁신기업에 투자하는 '모험자본'이자, 지자체가 혁신을 지원하고 활발한 창업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마중물이 될 것이다. 기업들의 기술개발, 상품화, 글로벌 진출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의 일자리 창출의 효과가 확산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토큰포스트 https://tokenpost.kr/article-5295
0 notes
coicnico-blog · 5 years
Text
Tumblr media
중국에서 블록체인으로 쇠고기의 원산지를 추적할 수 있는 스테이크 전문 정육 식당이 문을 열었다.
중국 언론 화런펀마왕에 따르면 이번주부터 상하이 푸동신구 루자쥐에 위치한 이 '이졘셴뉴' 스테이크 체험 매장에서 중국 최초로 스테이크에 사용되는 쇠고기의 번식, 사육, 운송, 도살, 가공, 유통 전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로 추적 가능하다.
최근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쇠고기 이력 추적에 적용키로 한 가운데 상하이에서 이같은 시도가 이뤄진 것이다.
이 매장은 상하이 졘위에전자상무유한회사가 운영하는 일본풍 신선육 스테이크 식당이다. 블록체인 매장 개업 첫날인 23일 점심 매출액이 1만 여 위안(약 163만 원)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매장의 쇠고기 원재료는 모두 호주 천연 목장에서 키워진 순종 앵거스 품종이다. 1천 년 이상 개발되지 않은 알칼리성 토지에 무농약과 화학비료 최소화 등을 통해 소를 사육한다.
호주 농장에서 정보 추적 시스템을 설치했으며 쇠고기의 DNA와 가족력 정보도 관리된다. 사육 과정에서 환경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귀표 시스템 등도 운영되며 소의 사료 정보와 생장 정보가 모두 기록된다. 엄격한 검역 과정을 거쳐 중국으로 운송되는 전 과정이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운영된다.
중국 언론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중국인의 식탁이 보다 안심할 수 있는 쇠고기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졘위에전자상무유한회사는 상하이 매장을 시초로 향후 중국 내 다른 도시에도 이 모델을 확산할 계획이다.
출처 : 지디넷코리아 http://www.zdnet.co.kr/view/?no=20181227081137
0 notes